티스토리 뷰

공부/토비의 스프링 3.1

DI와 테스트

이사쿠 2019. 3. 4. 00:59
  • 태스트 코드에 의한 DI
  • 테스트를 위한 별도의 DI 설정
  • 컨테이너 없는 DI 테스트

DI를 테스트에 이용하는 세 가지 방법 중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까?

  1. 항상 스프링 컨테이너 없이 테스트할 수 있는 방법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자. 이 방법이 테스트 수행 속도가 가장 빠르고 테스트 자체가 간결하다.
  2. 여러 오브젝트와 복잡한 의존관계를 갖고 있는 오브젝트를 테스트해야 할 경우라면, DI 방식의 테스트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3. 예외적인 의존관계를 강제로 구성해야 하는 경우, @DirtiesContext 애노테이션을 이용한 수동 DI를 활용하자.

그냥 동등한 운영계 DB에 접근하면서도 운영계에 영향 없이 테스트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

'공부 > 토비의 스프링 3.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소스 반환과 close()  (0) 2019.03.05
버그 테스트 방법  (0) 2019.03.04
JUnit 테스트 수행 방식  (0) 2019.02.28
테스트 주도 개발(TDD)  (0) 2019.02.28
테스트를 만들 때 주의해야 할 점  (0) 2019.02.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