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WHAT SPARKS A LIGHT IN YOU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WHAT SPARKS A LIGHT IN YOU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60)
    • 여행 (1)
    • 묵상 (1)
    • 생각 (40)
    • 책 (8)
    • 영화 (3)
    • 유튜브 (27)
    • 공부 (80)
      • 토비의 스프링 3.1 (39)
      • 이펙티브 자바 (6)
      • 오브젝트 (1)
      • IntelliJ (1)
      • SW Professional (9)
      • 데이터 중심 애플리케이션 설계 (2)
      • 마이크로서비스 패턴 (0)
      • 스프링으로 시작하는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15)
      • 인증, 인가 (5)
    • 비공개 (0)
      • 메모 (0)
  • 방명록

의존관계 설정

의존관계(Dependency Relationship)의존대상이 변하면 함께 변하는 것의존관계에는 방향성이 있다 의존관계 주입(Dependency Injection)구체적인 의존 오브젝트와 그것을 사용할 주체, 클라이언트 오브젝트를 런타임 시에 연결해주는 작업클래스 모델이나 코드에는 런타임 시점의 의존관계가 드러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에만 의존)런타임 시점의 의존관계는 컨테이너나 팩토리 같은 제3의 존재가 결정한다.의존관계는 사용할 오브젝트에 대한 레퍼런스를 외부에서 제공(주입)해줌으로써 만들어진다. 의존관계 검색(Dependency Lookup)의존관계를 외부로부터 주입 받지 않고 스스로 검색결정과 생성은 IoC로 맡기지만, 이를 능동적으로 컨테이너에게 요청코드 안에 오브젝트 팩토리 클래스나 스프링 A..

공부/토비의 스프링 3.1 2019. 2. 22. 02:12
스코프

스코프(Scope)빈이 생성되고, 존재하고, 적용되는 범위 스프링 빈의 기본 스코프는 싱글톤cf. 프로토타입 스코프: 컨테이너에 빈을 요청할 때마다 매번 새로운 오브젝트 생성ex) 요청 스코프(HTTP 요청이 생길 때마다), 세션 스코프 //10장에서 자세히

공부/토비의 스프링 3.1 2019. 2. 22. 01:23
싱글톤 패턴, 싱글톤 레지스트리

싱글톤 패턴(Singleton Pattern)어떤 클래스를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제한된 인스턴스 개수, 이름처럼 주로 하나만 존재하도록 강제하는 패턴이다.클래스 밖에서는 오브젝트를 생성하지 못하도록 생성자를 private으로 만든다. 생성된 싱글톤 오브젝트를 저장할 수 있는 자신과 같은 타입의 스태틱 필드를 정의한다.스태틱 팩토리 메소드인 getInstance()를 만들고 이 메소드가 최초로 호출되는 시점에서 한 번만 오브젝트가 만들어지게 한다. 생성된 오브젝트는 스태틱 필드에 저장된다. 또는 스태틱 필드의 초기값으로 오브젝트를 미리 만들어둘 수도 있다.한번 오브젝트(싱글톤)가 만들어지고 난 후에는 getInstance() 메소드를 통해 이미 만들어져 스태틱 필드에 저장해둔 오브젝트를 넘겨준다. 싱글톤 패..

공부/토비의 스프링 3.1 2019. 2. 22. 00:56
[질문] 오브젝트의 동일성과 동등성(p103)

첫 번째 문단,"전자는 동일성(identity) 비교라고 하고, 후자를 동등성(equality) 비교라고 한다. 동일성은 == 연산자로, 동등성은 equals() 메소드를 이용해 비교한다."세 번째 문단,"Object의 equals() 메소드는 두 오브젝트의 동일성을 비교해서 그 결과를 돌려준다. 따라서 이때는 동일한 오브젝트여야지만 동등한 오브젝트라고 여겨질 것이다.)이게 무슨 말일까? 첫 번째 문단에서는 equals() 메소드를 통해 동등성 비교를 한다는 것처럼 말하는데, 세 번째 문단에서는 동일성 비교를 한다고 말한다. --> 일단 뒷 부분 내용상 == 연산자가 동일성 비교, equals() 연산자가 동등성 비교가 맞는 것 같다.

공부/토비의 스프링 3.1 2019. 2. 22. 00:33
빈, 빈 팩토리,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

빈(bean)스프링이 제어권을 가지고 직접 만들고 관계를 부여하는 오브젝트 스프링 컨테이너가 생성과 관계설정, 사용 등을 제어해주는 제어의 역전이 적용된 오브젝트 빈 팩토리(bean factory)빈의 생성과 관계설정 같은 제어를 담당하는 IoC 오브젝트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application context)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는 일종의 빈 팩토리(정확히는 빈 팩토리의 확장)로, 별도의 정보를 참고해서 빈의 생성, 관계설정 등의 제어 작업을 총괄한다. 그 자체로는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담당하지는 않지만 IoC 방식을 이용해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사용할 관계를 맺어주는 등의 책임을 담당한다.= 스프링 컨테이너, IoC 컨테이너

공부/토비의 스프링 3.1 2019. 2. 21. 01:07
제어의 역전(IoC)

제어의 역전(IoC, Inversion of Control)간단히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 구조가 뒤바뀌는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제어의 역전에서는 오브젝트가 자신이 사용할 오브젝트를 스스로 선택하지 않는다. 모든 제어 권한을 자신이 아닌 다른 대상에게 위임한다. 제어의 역전에서는 프레임워크 또는 컨테이너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의 생성과 관계설정, 사용, 생명주기 관리 등을 관장하는 존재가 필요하다.

공부/토비의 스프링 3.1 2019. 2. 20. 00:44
오브젝트 팩토리

오브젝트 팩토리(Object Factory)팩토리 클래스의 역할은 객체의 생성 방법을 결정하고 그렇게 만들어진 오브젝트를 돌려주는 것즉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구조와 관계를 정의한 설계도 같은 역할간단히 말하면 어떤 오브젝트가 어떤 오브젝트를 사용하는지 정의해놓은 코드

공부/토비의 스프링 3.1 2019. 2. 20. 00:20
전략 패턴

전략 패턴(Strategy Pattern)자신의 기능 맥락(context)에서, 필요에 따라 변경이 필요한 알고리즘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째로 외부로 분리시키고, 이를 구현한 구체적인 알고리즘 클래스를 필요에 따라 바꿔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디자인 패턴. 컨텍스트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는 컨텍스트가 사용할 전략을 컨텍스트의 생성자 등을 통해 제공해주는 게 일반적이다.UserDaoTest(클라이언트)-UserDao(컨텍스트)-ConnectionMaker(인터페이스)-DConnectionMaker(전략)

공부/토비의 스프링 3.1 2019. 2. 19. 01:42
이전 1 ··· 16 17 18 19 20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 프록시의 목적
  • pointcut
  • 스물다섯스물하나
  • 포인트컷
  • Exception
  • Decorator pattern
  • 전이수
  • 전이수 갤러리
  • 프록시
  • 익셉션 처리 시 주의 사항
  • 어드바이스
  • Exception Handling
  • 예외 처리 시 주의 사항
  • 아크풀리
  • 프록시 패턴
  • 익셉션
  • 걸어가는 늑대들
  • 예외처리
  • ProxyFactoryBean
  • proxy pattern
  • 데코레이터 패턴
  • advice
  • 프록시의 특징
  • 내가 너라도 그랬을 거야
  • Proxy
more
«   2025/09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